-
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월요객석) 기후위기 시대, 전력망의 유연성을 높이는 수요자원거래시장
연일 계속되는 폭염의 기세가 무섭습니다. 무시무시한 더위에 태풍까지 한반도 옆을 지나갔습니다. 올해만 잘 버티면 지나갈 일시적인 상황일까요? 숨막히는 더위와 국지적으로 쏟아붓는 비, 밤이 되어도 지속되는 고온 현상은 기후변화의 시작인 듯 합
24.08.23 -
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2024 모빌리티&라이프) 그리드위즈, ‘PLC 모뎀’ 글로벌 시장 석권
PLC 모뎀 시장 장악…안전한 충전 기술 선도V2G·VPP 기술로 글로벌 에너지 시장 혁신 주도연 매출 1300억 달성…ESS·재생에너지 사업 확대
24.08.23 -
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김구환 그리드위즈 대표 “그리드위즈 2.0 시대 준비...M&A도 고려”
국내 에너지 스타트업 최초로 상장에 성공했지만 안주란 없었다.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던 준비기간을 지나 어느덧 안정기에 접어들었지만, 김구환 그리드위즈 대표는 여전히 ‘그리드위즈 2.0’이라는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고 있다.
24.07.23 -
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그리드위즈, 드림마크원 IDC 수요관리(DR) 서비스 나서
인공지능(AI), 빅데이터 성장으로 데이터센터(IDC) 전력소비량이 급증하는 가운데 그리드위즈가 데이터센터 에너지 관리 서비스에 나섰다.
24.07.03 -
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그리드위즈, 200억원 규모 분산자원 안전관리 통합 플랫폼 연구개발 주관
[이투뉴스] 그리드위즈(대표 김구환)는 에너지기술평가원이 올해 시행하는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중 에너지안전 품목연구 과제 주관사로 선정돼 'AI 기반 분산·유휴자원 안전관리 통합 플랫폼 개발 및 실증’을 주관한다고 3일 밝혔다. 출처 : 이투뉴스(http://www.e2news.com)
24.07.03 -
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에너지스타트업 불모지에서 상장까지'...그리드위즈, 성공스토리를 쓰다
DR 등 수요 기반 에너지 솔루션으로 상장은 처음상장 첫날 장중 공모가 2배 상승...시장 기대감 높아분산법 시행 등 여건 좋아 자사BM과 시너지 기대
24.06.17 -
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그리드위즈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100대 기후 테크 기업' 선정
[이투뉴스] 그리드위즈(대표 김구환)가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의 100대 기후테크(Climate Tech 100) 기업'으로 선정됐다. 글로벌 리서치 기관 HolonIQ는 5일부터 이틀간 싱가포르에서 열린 IPEF 클린 경제 투자 포럼에서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 혁신기업 100개사를 추린 ‘Indo-Pacific Climate Tech 100’ 리스트를 공개했다.출처 : 이투뉴스(http://www.e2news.com)
24.06.06 -
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김구환 그리드위즈 대표 “에너지데이터 테크로 혁신 성공모델 만들 것”
“전력 수요관리(DR)사업자 혹은 전기차충전 사업자처럼 특정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인식되고 싶지는 않습니다. 실시간 에너지데이터 운용을 통해 고객이 실질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리드위즈의 진짜 경쟁력이자 정체성입니다.”
24.06.03 -
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그리드위즈, ESG 경영성과 담은 '2023 임팩트 보고서' 발간
[이투뉴스] 그리드위즈(대표 김구환)는 지난해 ESG 경영성과를 정리한 '2023 임팩트 보고서'를 발간해 9일부터 홈페이지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에너지 스타트업 최초로 보고서를 발간한 이래 두번째다. ESG 공시 의무대상 기업은 아니지만 자발적 공시로 이해관계자와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출처 : 이투뉴스(http://www.e2news.com)
24.05.09 -
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그리드위즈, 육지 플러스DR 본격화 대규모 전기차·ESS자원 등록
[이투뉴스] 국내 1위 수요관리사업자인 그리드위즈(대표 김구환)가 제주에서 운영하던 플러스DR 서비스를 육지로 확대한다. 이를 위해 1만4000여기에 달하는 전기차 충전자원과 200MW이상의 ESS(에너지저장장치)를 자원으로 등록했다고 18일 밝혔다.
24.04.18 -
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스탠다드에너지-그리드위즈, ‘초급속’ 충전용 VIB ESS 공급 계약 체결
[인더스트리뉴스 최용구 기자] 스탠다드에너지(대표 김부기)와 그리즈위즈(대표 김구환)가 전기차 초급속 충전용 바나듐이온배터리(VIB) ESS에 관한 거래를 체결했다.스탠다드에너지는 그리드위즈에 90kWh 용량의 VIB ESS를 판매하는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24.02.29 -
링크를 클릭하면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됩니다.
‘무탄소 섬 제주’는 한국의 묵시록일까
[인터뷰] 김구환 그리드위즈 대표26조 8000억원. 정부는 제주 재생에너지 문제를 해결하자면 이만한 돈이 든다고 추산한다. 이 돈으로 ESS를 설치해야 한단 것. 스마트그리드 시장을 개척한 그리드위즈의 생각은 다르다.출처 : 포춘코리아(FORTUNE KOREA)(https://www.fortunekorea.co.kr)
24.02.08